POSCO(포스코, 005490)는 철강제조업체인 '포항제철'로 시작했고, 코스피 12위(2021.04.26 기준 약 31조 원)입니다.
POSCO의 주요 사업은 '제선, 제강 및 압연재의 생산과 판매'입니다. 종속 기업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회사 |
주요 제품 및 사업 내용 |
철강부문 |
㈜포스코, 포스코강판㈜ 등 |
열연제품, 냉연제품, 스테인리스 등 |
무역부문 |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
철강, 금속, 자동차부품,기계류, 물자자원 등의 수출입거래 |
건설부문 |
㈜포스코건설 등 |
도시개발, 빌딩, 주거시설공사 등 |
기타부문 |
㈜포스코아이씨티, ㈜포스코오앤엠, 포스코기술투자㈜, ㈜엔투비, ㈜포스코케미칼, 포스코터미날㈜, ㈜포스코엠텍, 포스코에너지㈜, 한국퓨얼셀 주식회사 등 |
발전소 및 발전시설 운영, 정보통신관련, 이차전지소재, 내화물 제조 및 판매 등 |
포스코는 2020년 생산 기준으로 전 세계 철강업의 약 5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준>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사업 |
매출 |
영업이익 |
매출 |
영업이익 |
매출 |
영업이익 |
||||||
철강 |
28,892,877 |
50% |
1,372,852 |
57% |
32,078,453 |
50% |
2,786,517 |
72% |
32,358,009 |
50% |
4,536,318 |
82% |
무역 |
19,345,222 |
33% |
394,954 |
16% |
22,157,131 |
34% |
542,724 |
14% |
22,407,717 |
35% |
383,934 |
7% |
E&C |
6,576,170 |
11% |
385,048 |
16% |
6,944,629 |
11% |
338,865 |
9% |
6,769,410 |
10% |
411,489 |
7% |
기타 |
2,978,527 |
5% |
250,181 |
10% |
3,186,635 |
5% |
200,749 |
5% |
3,442,641 |
5% |
210,859 |
4% |
합계 |
57,792,796 |
100% |
2,403,035 |
100% |
64,366,848 |
100% |
3,868,855 |
100% |
64,977,777 |
100% |
5,542,600 |
100% |
<철강 부문 매출(단위: 억 원)>
|
|
2020년 |
2019년 |
2018년 |
국내 |
열연 |
39,663 |
42,605 |
48,879 |
냉연 |
37,870 |
39,716 |
39,901 |
|
STS |
23,746 |
21,167 |
21,281 |
|
기타 |
63,111 |
77,026 |
77,230 |
|
해외 |
열연 |
37,368 |
41,064 |
35,231 |
냉연 |
101,808 |
125,658 |
124,449 |
|
STS |
72,140 |
80,181 |
79,931 |
|
기타 |
66,877 |
70,667 |
77,310 |
|
단순 합계 |
442,583 |
498,084 |
504,212 |
2020년에는 1) 코로나 여파로 철강을 사용하는 자동차 등의 수요가 줄었고, 2) 원료인 철광석 값은 올라 실적이 악화되었습니다.
2020년에는 철강 수요 감소와 원가 상승으로 실적 부진을 겪었지만 2021년에는 철강 가격 상승, 경기회복으로 인한 수요 증가 등이 예상되어 주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전의 고점까지 상승하고 있습니다.
POSCO의 주식은 국민연금이 11.3%, 블랙록 펀드가 5.2%, 자사주가 약 13%를 갖고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정확한 주가 예측은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의 판단에 따라 투자하길 바랍니다.
▶Positive: 중국의 철강 생산 축소, 철강 가격 상승, 경기 회복으로 수요 증가, 신재생 에너지 투자
▶Negative: 탄소중립으로 철강 생산 감소, 원료비 상승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고, 이에 탄소 배출이 많은 산업들은 생산 원가 상승이 우려됩니다. 포스코 또한 철강 제조 과정에서 대량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고, 이는 원료인 철광석 가격 상승과 함께 포스코의 영업이익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탄소 중립에 따른 생산 감축과 원가 상승은 예상했던 상황입니다. 경쟁자인 중국 기업들도 친환경 정책 때문에 생산을 줄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철강 생산이 줄어들지만 팬데믹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철강 수요는 증가해 철강 가격이 상승하고 있고, 이것이 원가 상승을 상쇄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포스코는 자회사를 통해 수소, 배터리 등 여러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전체 영업이익의 60%를 가까이를 철강에 의존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종합 에너지 회사로 거듭날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 |
2019년 |
2018년 |
|
현금배당수익률(%) |
3.0 |
4.1 |
4.1 |
주당 현금배당금(원) |
8,000 |
10,000 |
10,000 |
이 글은 공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을 소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홈페이지, 사업보고서, 증권사 리포트, 네이버 증권 등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또한 이 글은 해당 기업에 투자할 것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삼성전기(009150)-전기 축적하는 MLCC! 전기차, 전자기기 필수품! (0) | 2021.06.04 |
---|---|
현대제철(004020)-봉형강, 자동차 강판에 의존... 신사업이 필요해! (0) | 2021.04.29 |
LG디스플레이(엘지디스플레이, 034220)-애플에도 납품한다! 좋은 제품이 좋은 실적을 불러오다! (0) | 2021.04.07 |
LG전자(엘지전자, 066570)-스마트폰 포기하나? (0) | 2021.02.01 |
삼성전자(005930)-좋은 펀더멘탈, 어쩔 수 없는 거시 경제 흐름, 특별 배당금 (0)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