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지주(055550)는 신한금융 계열사의 지주회사로 신한은행, 신한카드, 제주은행 등이 속해있습니다. 코스피 23위(2021.02.17 기준 약 17조 원)입니다.
신한 지주의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업 부문 |
내용 |
주요 종속회사 |
|
은행 부문 |
고객에 대한 여신, 수신취급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은행, 제주은행 |
|
신용카드 부문 |
신용카드,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 등의 영업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카드, 신한은행 |
|
금융투자 부문 |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매매, 인수 및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금융투자 |
|
생명보험 부문 |
생명보험사업과 이에 수반되는 업무 |
신한생명보험, 오렌지라이프생명 |
|
기 타 부 문 |
자산운용 부문 |
증권투자신탁운용, 투자자문, 콜거래 업무 |
신한BNPP자산운용 |
여신전문 부문 |
시설대여 및 렌탈업무 |
신한캐피탈 |
|
저축은행 부문 |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른 수신, 여신 및 부대업무 |
신한저축은행 |
|
시스템 개발 및 공급 부문 |
금융IT서비스 업무 |
신한DS |
|
집합투자 일반사무관리 부문 |
펀드 일반사무관리 업무 및 부대업무 |
신한아이타스 |
|
채권추심 부문 |
신용정보이용및보호에관한법에 따른 채권추심, 신용조사 등의 업무 |
신한신용정보 |
|
사모투자 부문 |
국내외 사모투자전문회사(private equity fund)의 업무집행사원으로서의 업무 |
신한대체투자운용 |
|
부동산자산관리 부문 |
부동산투자회사(REITs)가 위탁한 부동산 투자 및 운용 업무 |
신한리츠운용 |
|
부동산신탁 부문 |
부동산 신탁 재산 개발 및 관리 업무 |
아시아신탁 |
|
투자자문업 부문 |
금융투자상품의 가치 또는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투자판단 자문 업무 |
신한에이아이 |
|
벤처캐피탈 부문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 제공 업무 |
네오플럭스 |
신한은행은 국내 6대 대형 은행 중에 하나이며, 신한카드는 LG카드와 합병 후 국내 1위 신용카드 기업입니다. 이외에도 보험, 금융투자업 등에서 안정적인 이익을 내고 있습니다.
금융 산업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금융 관련주-은행, 보험, 신용카드, 증권 등-금융지주, 삼성카드, 삼성생명, 삼성화재, 한화생명, 키움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금융 관련주-은행, 보험, 신용카드, 증권 등-금융지주, 삼성카드, 삼성생명, 삼성화재, 한화생명,
금융산업 금융산업은 경제 주체에게 필요한 자금을 수급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금융업은 크게 자금 유치와 운용에 따른 수익(예대마진), 수수료 수익 등을 얻으며, 은행 및 저축은행, 보험(생
moku-money.tistory.com
|
구 분 |
은행 부문 |
신용카드 |
증권 |
생명보험 |
기타 부문 |
연결조정 |
합계 |
|
2020년 3분기 |
순이자손익 |
금액 |
4,510.90 |
1,311.00 |
376.5 |
1,207.10 |
120.4 |
-163.7 |
7,362.20 |
비율 |
61.30% |
17.80% |
5.10% |
16.40% |
1.60% |
-2.20% |
100.00%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608.4 |
372.9 |
388.8 |
121.1 |
264.8 |
-1 |
1,755.00 |
|
비율 |
34.70% |
21.20% |
22.20% |
6.90% |
15.10% |
-0.10% |
100.00% |
||
기타손익 |
금액 |
-2,859.90 |
-958.9 |
-555.8 |
-854.7 |
-118.1 |
211 |
-5,136.40 |
|
비율 |
55.70% |
18.70% |
10.80% |
16.60% |
2.30% |
-4.10% |
100.00% |
||
영업이익 |
금액 |
2,259.40 |
725 |
209.5 |
473.5 |
267.1 |
46.3 |
3,980.80 |
|
비율 |
56.80% |
18.20% |
5.30% |
11.90% |
6.70% |
1.10% |
100.00% |
||
당기순이익 |
금액 |
1,707.80 |
543.2 |
184.6 |
384.6 |
214.3 |
-84.3 |
2,950.20 |
|
비율 |
57.90% |
18.40% |
6.30% |
13.00% |
7.30% |
-2.90% |
100.00% |
||
2019년 |
순이자손익 |
금액 |
5,989.50 |
1,754.00 |
457.9 |
1,647.80 |
127.6 |
-238.8 |
9,738.00 |
비율 |
61.50% |
18.00% |
4.70% |
16.90% |
1.30% |
-2.40% |
100.00%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950.4 |
403.3 |
351.3 |
167.3 |
272.2 |
-4 |
2,140.50 |
|
비율 |
44.40% |
18.80% |
16.40% |
7.80% |
12.70% |
-0.10% |
100.00% |
||
기타손익 |
금액 |
-3,778.10 |
-1,345.50 |
-569.1 |
-1,229.90 |
-230.8 |
321.2 |
-6,832.20 |
|
비율 |
55.30% |
19.70% |
8.30% |
18.00% |
3.40% |
-4.70% |
100.00% |
||
영업이익 |
금액 |
3,161.80 |
811.8 |
240.1 |
585.2 |
169 |
78.4 |
5,046.30 |
|
비율 |
62.70% |
16.10% |
4.80% |
11.60% |
3.30% |
1.50% |
100.00% |
||
당기순이익 |
금액 |
2,256.60 |
609.4 |
220.9 |
395.3 |
100.3 |
-179 |
3,403.50 |
|
비율 |
66.30% |
17.90% |
6.50% |
11.60% |
2.90% |
-5.20% |
100.00% |
||
2018년 |
순이자손익 |
금액 |
5,707.80 |
1,583.10 |
429.1 |
761.7 |
95.6 |
2.8 |
8,580.10 |
비율 |
66.50% |
18.50% |
5.00% |
8.90% |
1.10% |
0.00% |
100.00% |
||
순수수료손익 |
금액 |
850.6 |
433 |
388.9 |
69.8 |
198.8 |
-2.1 |
1,939.00 |
|
비율 |
43.90% |
22.30% |
20.10% |
3.60% |
10.30% |
-0.10% |
100.00% |
||
기타손익 |
금액 |
-3,511.80 |
-1,143.00 |
-485.1 |
-650.3 |
-192.4 |
-37.1 |
-6,019.70 |
|
비율 |
58.30% |
19.00% |
8.10% |
10.80% |
3.20% |
0.60% |
100.00% |
||
영업이익 |
금액 |
3,046.60 |
873.1 |
332.9 |
181.2 |
102 |
-36.4 |
4,499.40 |
|
비율 |
67.70% |
19.40% |
7.40% |
4.00% |
2.30% |
-0.80% |
100.00% |
||
당기순이익 |
금액 |
2,195.00 |
631 |
251.3 |
131 |
49.2 |
-100.8 |
3,156.70 |
|
비율 |
69.50% |
20.00% |
8.00% |
4.10% |
1.60% |
-3.20% |
100.00% |
2019년까지는 은행과 신용카드에서 당기순이익의 80%이상이 발생했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 관련 대손충당금 등으로 인해 은행+신용카드 당기순이익이 80%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반면 생명보험에서 당기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쇼크에서 반등한 이후로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이전 수준의 주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신한지주 주식은 국민연금이 약 10%, 블랙록 펀드가 약 5.6%를 갖고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정확한 주가 예측은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의 판단에 따라 투자하길 바랍니다.
▶Positive: 안정적인 실적
▶Negative: 대손충당금 발생, 주택담보대출 제한
신한지주는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내고 있습니다. 특히 LG카드를 합병하면서 국내 1위가 된 신한카드와 대형 은행인 신한은행의 실적이 탄탄합니다.
그러나 2020년 라임 사태, 코로나 사태로 인한 대손충당금으로 인해 이익은 감소했습니다. 일상적인 이익을 비일상적인 손실이 잠식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손실이 이익보다 훨씬 클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저금리 기조는 금융지주에게 양날의 칼입니다. 은행은 이자 수익이 줄어들지만 대출 규모 자체는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투자, 보험 등은 운용수익이 감소합니다. 신용카드의 경우 낮은 금리 덕에 카드론의 규모가 커집니다. 하지만 당국이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게 되면 은행의 대출 규모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자수익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주가 상승의 모멘텀은 아직 도래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2019년 |
2018년 |
2017년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1,850 |
1,600 |
1,450 |
우선주 |
1,850 |
- |
- |
신한지주는 1년에 한 번 기말배당을 합니다. 시가배당률은 약 4%로 다른 금융 지주에 비해 높은 편은 아닙니다.
2020년 배당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금융 당국의 배당 자제 요청 때문에 배당금액이 크게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글은 공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을 소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홈페이지, 사업보고서, 증권사 리포트, 네이버 증권 등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또한 이 글은 해당 기업에 투자할 것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KB금융(케이비금융, 105560)-은행, 증권에서 견고한 수익, 그러나 배당 자제 압력 (0) | 2021.02.27 |
---|---|
한화손해보험(000370)-매각설이 솔솔 (0) | 2021.02.24 |
한국금융지주(071050)-한국투자증권이 메인! 유일한 비은행 금융지주 (0) | 2021.02.17 |
삼성카드(029780)-신용카드사로는 유일하게 상장 (0) | 2021.02.16 |
삼성화재(000810)-다이렉트로 연결되는 국내 최대 규모 손해보험사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