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방.석. 돈의 방향을 해석한다!

반응형

기업 소개, 사업 내용

카카오(035720)는 국내 1위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운영하며, 시총 10위(2020.12.30 기준 약 34조)의 기업입니다.

 

카카오의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구분

서비스 구분

브랜드명

플랫폼

메신저

카카오톡

포털

다음

모빌리티

카카오 택시, 대리, 주차 등

금융

카카오 페이

IP 비즈니스

-

콘텐츠

게임

배틀 그라운드, 테라 클래식 등

뮤직

카카오엠, 멜론

유료 콘텐츠

픽코마, 카카오페이지, 웹툰 등

 

카카오톡은 국내 메신저 중에서 시장점유율 1위(2019년 말 기준 약 96%)입니다. 반면 포털 서비스 다음은 PC 검색 기준 16%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의 서비스는 크게 플랫폼 기반 서비스(메신저, 포털, 금융, 모빌리티 등)와 콘텐츠 서비스(게임, 뮤직, 웹툰 등)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카카오의 지난 실적, 주가를 보고 싶다면 카카오(035720)

 

카카오(035720)

1. 개요 카카오는 국내 1위 메신저(2019년 기준 메신저 점유율 96%, 출처: 사업보고서) 카카오톡을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카카오의 시작은 1990년대 후반 다음커뮤니케이션이었습니다. 네이버가 검

moku-money.tistory.com

 

플랫폼 산업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플랫폼 관련주-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쿠팡 등

 

플랫폼 관련주-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쿠팡 등

플랫폼이란? 플랫폼의 사전적 의미는 1) 역에서 사람이 타고 내리는 공간 2) 강단 등 밟고 올라가는 대(臺)입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플랫폼은 사람, 정보 등이 모이고,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moku-money.tistory.com

재무 정보(출처: 사업보고서)

 

기업 전체 매출 및 영업이익

 

사진 출처: 네이버 증권

 

사업 부문별 매출 및 영업이익 구성(단위: 백만 원)

 

구분

2019년

2018년

2017년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플랫폼 부문

1,434,749

46.73%

1,039,315

43.00%

824,707

41.81%

콘텐츠 부문

1,635,363

53.27%

1,377,677

57.00%

1,147,620

58.19%

합 계

3,070,111

100.00%

2,416,992

100.00%

1,972,326

100.00%

 

카카오의 매출은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에서 고르게 나오고 있습니다. 플랫폼 부문에서 톡비즈(광고), 선물하기 등의 호조로 점차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가 정보

 

주가 추이

카카오 1년

코로나 사태 이후,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생태계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카카오의 실적과 주가가 동시에 상승했습니다. 최근 3개월은 비교적 주가가 정체된 상태입니다.

 

카카오 일봉

최근 3개월은 주가의 급등락 없이 비교적 정체된 상태입니다.

 

카카오의 주식은 김범수 의장이 14%, 케이큐브홀딩스가 11% 정도를 가져 특수 관계인 비중이 25%이며, 국민연금이 약 8.4%를 갖고 있습니다. 자사주가 약 2.8% 입니다.

 

주가 전망 요인

주가가 상승,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정확한 주가 예측은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의 판단에 따라 투자하길 바랍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아날로그 대면 산업에서 디지털 비대면 산업으로 빠르게 이동했습니다. 그것은 이미 거스르기 어려운 시대의 흐름이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이동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핸드폰으로 물건을 주문하고, 음식을 배달시키고, 선물을 보내고, 차를 부릅니다. 이런 시대 흐름에 발맞춰 카카오의 주가는 2020년 3월 이후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주가가 시대 흐름에 대한 기대로 형성되었다면 앞으로의 주가는 실적에 따라 결정될 것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재택 근무와 집콕 생활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의 모바일 사용 시간은 더욱 증가했습니다. 광고가 더 많이 노출되었고, 더 많은 물건을 핸드폰으로 사게 되었습니다. 카카오의 플랫폼 매출은 사상 최고액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게다가 카카오의 선물하기는 연말연시에 송년회, 신년회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만나지 못한 사람들에게 간단하게 선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스마트 스토어가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면 카카오 선물하기는 명품과 매스티지를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몽블랑과 티파니앤코, 샤넬 화장품 등이 카카오 선물하기에 입점했고, 고급 선물 전략이 플랫폼 매출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2020년의 카카오 실적이 꽤 좋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신사업을 위해 인수, 합병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 카카오게임즈에 이어 2021년에는 카카오뱅크가 상장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신규 상장 기업과 신규 사업의 진행 여부가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배당 정보

 

배당 성향

 

 

2019년

2018년

2017년

주당 현금배당금(원)

127

127

148

 

카카오는 1년에 한번 기말 배당을 합니다. 우선주는 없고, 2019년 기준 주당 127원이었습니다. 시가배당률은 0.1%대였습니다. 

 

배당 전망 요인

 

올해 카카오의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배당이 극적으로 많이 오를 것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카카오 같은 성장 기업들은 아직 고정적인 현금이 나오지 않으며, 게다가 이익이 생기면 바로 재투자를 하기 때문에 고배당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게다가 최근 카카오의 주가가 매우 많이 올랐기 때문에 시가배당률은 상당히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 배당은 15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시가배당률은 0.04%입니다.

 

이 글은 공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을 소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홈페이지, 사업보고서, 증권사 리포트, 네이버 증권 등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또한 이 글은 해당 기업에 투자할 것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