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엘지화학, 051910)은 LG그룹의 화학, 배터리 제조 기업으로 코스피 4위(2021.02.24 기준 61조 2300억 원)입니다.
LG화학의 주요 사업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주요 제품 |
석유화학 |
에틸렌, 프로필렌, PE, PP, PVC, ABS, 아크릴, 알코올, SAP, 합성고무, 특수수지 등 |
전지 |
소형전지, 자동차전지, ESS전지 등 |
첨단소재 |
EP, 양극재, 편광판 소재, 수처리 RO필터, OLED 재료 등 |
생명과학 |
당뇨치료제, 미용필러, 성장호르몬제, 백신 등 |
공통 및 기타부문 |
작물보호제, 종자, 비료, 접착제, Specialty Tape 및 전사 사업부문에 대한 공통 관리, 영업 및 연구개발 활동 수행 |
주요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주요 제품 |
시장점유율 |
비고 |
||
2020년 3분기 |
2019년 |
2018년 |
|||
석유화학 사업부문 |
PVC RESIN |
54.6 |
54.4 |
53.4 |
국내시장 기준 |
LDPE |
40.1 |
39.0 |
48.0 |
||
가소제 |
40.1 |
42.8 |
51.4 |
||
ABS |
54.0 |
56.3 |
56.5 |
||
PS |
11.1 |
11.4 |
12.4 |
||
BPA |
31.2 |
37.9 |
27.3 |
||
전지 사업부문 |
2차전지 (소형전지) |
14.8 |
12.1 |
13.8 |
세계시장 기준 |
첨단소재 사업부문 |
OLED재료 |
8.0 |
8.0 |
9.0 |
|
생명과학 사업부문 |
성장호르몬제 |
38.5 |
34.0 |
33.0 |
국내시장 기준 |
DPP-4 계열 당뇨병 치료제 |
19.6 |
18.6 |
17.2 |
||
HA 관절 주사제 |
24.0 |
24.0 |
24.4 |
2020년 12월부터 전지 사업 부문이 LG에너지솔루션으로 분할되었습니다.
<매출>
2020년 3분기 |
2019년 |
2018년 |
||||
석유화학 사업부문 |
10,175,108 |
48.1% |
14,993,014 |
55.3% |
16,324,307 |
61.2% |
전지 사업부문 |
8,227,824 |
38.9% |
8,350,251 |
30.8% |
6,498,916 |
24.4% |
첨단소재 사업부문 |
1,676,132 |
7.9% |
2,336,971 |
8.6% |
2,562,262 |
9.6% |
생명과학 사업부문 |
489,507 |
2.3% |
622,183 |
2.3% |
571,129 |
2.1% |
공통 및 기타부문 |
603,070 |
2.8% |
809,194 |
3.0% |
728,754 |
2.7% |
합계 |
21,171,641 |
100.0% |
27,111,613 |
100.0% |
26,685,368 |
100.0% |
<영업이익>
2020년 3분기 |
2019년 |
2018년 |
||||
석유화학 사업부문 |
1,398,903 |
83.3% |
1,417,851 |
172.3% |
2,032,379 |
88.8% |
전지 사업부문 |
272,497 |
16.2% |
-454,312 |
-55.2% |
209,170 |
9.1% |
첨단소재 사업부문 |
126,129 |
7.5% |
59,823 |
7.3% |
52,218 |
2.3% |
생명과학 사업부문 |
46,072 |
2.7% |
37,199 |
4.5% |
49,547 |
2.2% |
공통 및 기타부문 |
-164,019 |
-9.8% |
-237,815 |
-28.9% |
-54,560 |
-2.4% |
합계 |
1,679,582 |
100.0% |
822,746 |
100.0% |
2,288,754 |
100.0% |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지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매출의 40% 정도로 성장했고, 영업이익도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가장 큰 이익은 화학부문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배터리 사업이 성장하면서 주가가 많이 상승했습니다. 전지 사업 부문이 분리된다는 소식에 주가가 하락하기도 했으나 신설법인이 LG화학의 100% 자회사라는 소식에 다시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최근에는 SK와의 배터리 소송에서도 승소했습니다. 테슬라 주가 하락에 동반해 최근 며칠은 주가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의 주식은 지주회사 LG가 약 33%를 갖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약 10%를 갖고 있고, 자사주는 약 2.2%입니다.
주가가 상승,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정확한 주가 예측은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의 판단에 따라 투자하길 바랍니다.
▶Positive: 전지사업 성장세, 석유화학 수익성 향상
▶Negative: LG에너지솔루션 상장, 배터리 사고
LG화학은 국내 대표 배터리 업체로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동반 성장했습니다. 앞으로도 탈화석연료 움직임에 따라 전기 배터리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며, LG화학의 수익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기존 석유 화학 부문의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습니다.
다만 배터리 부문인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을 한다면 모기업인 LG화학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지금 LG화학을 황제주로 끌어올린 것은 배터리 사업에 대한 기대이기 때문에 작년에 분할 소식에도 주가가 많이 하락했습니다. 물론 에너지솔루션이 상장한다고 해도 LG화학이 60% 이상을 지배하는 대주주가 될 가능성이 높고 그렇게 된다면 연결 실적에 반영되어 LG화학의 전체 실적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LG화학을 보유한 주주들이 LG화학을 팔고, 에너지솔루션을 살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연 LG에너지 솔루션이 LG화학의 대체재인지, 어차피 기업가치가 동반 상승할 것인데 꼭 부정적으로 봐야 하는 것인지는 의문입니다.
더불어 잇따라 발생하는 배터리 사고도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작은 충격에도 폭발하는 테슬라나 현대차 코나의 리콜 사태 등에서 배터리 부분의 책임을 피할 수 없습니다.
2019년 |
2018년 |
2017년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2,000 |
6,000 |
6,000 |
우선주 |
2,050 |
6,050 |
6,050 |
LG화학은 1년에 한 번 기말배당을 합니다. 2019년에는 시가배당률이 보통주 0.6%, 우선주 1.2%였습니다.
2020년 배당은 보통주 10,000원, 우선주 10,05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2020년에 큰 폭의 이익 증가가 있었던 만큼 배당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다만 주가 상승으로 시가배당률은 2배 정도(보통주 1.2%, 우선주 2.7%) 상승했습니다.
이 글은 공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을 소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홈페이지, 사업보고서, 증권사 리포트, 네이버 증권 등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또한 이 글은 해당 기업에 투자할 것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SK케미칼(에스케이케미칼, 285130)-SK바이오사이언스 최대 주주 (0) | 2021.03.12 |
---|---|
한국전력(015760)-전기 요금을 올리든지, 원전을 돌리든지 (0) | 2021.03.03 |
삼성SDI(삼성에스디아이, 006400)-매출은 배터리에서 나오는데 수익은? (0) | 2021.02.26 |
SK이노베이션(에스케이 이노베이션, 096770)-배터리에 운명을 걸다 (0) | 2021.02.25 |
한화솔루션(009830)-태양광, 수소... 탈석탄 시대를 이끌어 갈 기대주 (0) | 202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