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015760)은 국내 유일(구역전기사업자 제외)의 전기 제조, 판매 업체로 코스피 27위(2021.03.02 기준 14조 8000억원)입니다.
한국전력의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회사 |
사업내용 |
전기 판매 부문 |
한국전력공사 |
전기판매, 전력자원개발, 투자 및 출연, 부동산활용 |
원자력 발전 부문 |
한국수력원자력(주) |
원자력, 수력, 양수발전사업 |
화력 발전 부문 |
한국남동발전(주),한국중부발전(주),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한국동서발전(주) |
유연탄, 무연탄, BC유, LNG 등 발전사업 |
기타 부문 |
한국전력기술(주), 한전KPS(주), 한전원자력연료㈜, 한전KDN㈜,경기그린에너지(주),경주풍력발전(주),한국해상풍력(주), (주)상공에너지, 코스포 영남파워(주), 켑코에너지솔루션(주), 햇빛새싹발전소(주), 에너지신산업 전문투자 사모투자신탁, 탐라해상풍력발전(주), 에스이그린에너지(주) 등 |
발전소설계, 발전설비 정비, 원자력연료 공급, 전력ICT서비스, 신재생발전사업, 태양광발전사업, 온실가스배출업, 해상풍력 , 신사업펀드, 해외투자사업, 시설물 유지관리 등 |
한국전력은 국내 전기 제조, 판매 사업에서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원전 운영자이며, 화력발전소의 70% 가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기는 수요와 공급이 비탄력적인 재화이며, 필수재입니다.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며, 규모의 경제가 가능합니다. 지구 온난화, 스마트 기기 사용 등으로 향후 전기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전기 가격은 산업자원부 장관의 승인이 있어야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그동안 원료비 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한전이 부담했고, 이는 실적 악화로 이어졌습니다. 생산비가 상승함에도 전기료를 올릴 수 없어 전기를 생산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가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2020년 3분기 |
2019년 |
2018년 |
||||
매출액 |
영업이익 |
매출액 |
영업이익 |
매출액 |
영업이익 |
|
전기판매부문 |
43,490,173 |
1,569,048 |
58,933,180 |
-2,848,347 |
60,271,500 |
-2,193,268 |
원자력발전부문 |
7,363,180 |
1,202,869 |
8,937,026 |
822,785 |
8,858,717 |
1,116,262 |
화력발전부문 |
15,838,226 |
240,210 |
24,254,957 |
548,267 |
25,204,085 |
495,092 |
기타부문 |
2,958,306 |
255,944 |
3,676,863 |
310,586 |
3,522,426 |
459,092 |
소 계 |
69,649,885 |
3,268,071 |
95,802,026 |
-1,166,709 |
97,856,728 |
-122,822 |
내부거래 조정 |
-25,772,848 |
-115,502 |
-36,629,136 |
-109,812 |
-37,229,118 |
-85,179 |
합 계 |
43,877,037 |
3,152,569 |
59,172,890 |
-1,276,521 |
60,627,610 |
-208,001 |
2020년에는 실적이 매우 좋아졌는데, 이는 저유가로 인해 원료비가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2019년과 2018년은 원료비가 비쌌음에도 비교적 생산단가가 싼 원자력의 비중이 줄어들어 손실이 컸습니다.
주가가 정체되어 있었으나 전기요금제 개편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그 이후로는 다시 하락추세입니다.
한국전력의 주식은 산업은행이 약 33%, 정부(재정경제부)가 약 18%를 갖고 있어 정부부문이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8%를 갖고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정확한 주가 예측은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의 판단에 따라 투자하길 바랍니다.
▶Positive: 전기요금 개편
▶Negative: 신재생 에너지의 단가, 기후 환경 요금, 정치적 시도
한국전력의 문제는 전기요금(가격)은 고정되어 있는데, 생산비는 변동한다는 데 있습니다. 2020년에 이례적 저유가 덕분에 호실적을 거두었고, 그 이전에는 엄청난 적자를 기록한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요금 개편이 기업 실적에 매우 중요합니다. 전기요금 개편 소식에 주가가 급등했다는 것은 시장이 한전의 변화를 바란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전기요금이 국제 유가에 연동된다고 해도 장기적으로는 신재생 에너지를 확대해야 합니다. 아직 신재생 에너지의 생산성은 원자력 발전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 부분을 해결해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기 생산을 할 수 있는지 여부가 주가를 결정할 것입니다.
2019년 |
2018년 |
2017년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
- |
790 |
한국전력은 지난 2년간 배당을 하지 않았습니다.
2020년 배당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2020년에 흑자전환했기 때문에 배당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글은 공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을 소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홈페이지, 사업보고서, 증권사 리포트, 네이버 증권 등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또한 이 글은 해당 기업에 투자할 것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S-Oil(에쓰오일, 010950)-아람코가 투자한다! 구도일은 수소 전지 사업에서도 웃을 수 있을까? (0) | 2021.06.16 |
---|---|
SK케미칼(에스케이케미칼, 285130)-SK바이오사이언스 최대 주주 (0) | 2021.03.12 |
삼성SDI(삼성에스디아이, 006400)-매출은 배터리에서 나오는데 수익은? (0) | 2021.02.26 |
SK이노베이션(에스케이 이노베이션, 096770)-배터리에 운명을 걸다 (0) | 2021.02.25 |
LG화학(엘지화학, 051910)-전기차 배터리 대장주! (0) | 2021.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