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방.석. 돈의 방향을 해석한다!

반응형

기업 소개, 사업 내용

삼성SDI(삼성에스디아이, 006400)는 삼성그룹의 배터리 및 전자재료 생산 기업으로 코스피 8위(2021.02.25 기준 48조 6000억 원)입니다.

 

삼성SDI의 사업 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

주요 제품군

에너지솔루션

소형전지, 중ㆍ대형전지

전자재료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 편광필름 등 

삼성SDI는 2020년 기준 소형전지 시장의 약 19%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재무 정보(출처: 사업보고서)

기업 전체 매출 및 영업이익

사진 출처: 네이버 증권

 

사업 부문별 매출 및 영업이익 구성(단위: 백만 원)

 

   

에너지솔루션

전자재료

 
   

금액

비중

금액

비중

합계

2020년 3분기

매출액

6,099,599

76%

1,943,786

24%

8,043,385

영업이익

124,313

29%

300,824

71%

425,137

2019년

매출액

7,719,347

76%

2,378,079

24%

10,097,426

영업이익

55,485

12%

406,692

88%

462,177

2018년

매출액

6,954,168

76%

2,204,104

24%

9,158,272

영업이익

397,378

56%

317,593

44%

714,971

 

매출의 70% 이상이 배터리 부문에서 나오지만 영업이익은 전자재료 부문이 높습니다. 2020년에는 큰 폭으로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주가 정보

주가 추이

삼성SDI 1년
삼성SDI 일봉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배터리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에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최근 며칠은 테슬라의 주가 하락에 동반해 주가가 떨어졌습니다.

 

주주 정보

삼성SDI의 주식은 삼성전자가 약 19.5% 등 삼성 계열사가 약 20%를 갖고 있고, 국민연금이 약 9.3%를 갖고 있습니다. 블랙록 펀드가 약 5%를 갖고 있고, 자사주가 약 4.8%입니다. 

 

주가 전망 요인

주가가 상승,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정확한 주가 예측은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의 판단에 따라 투자하길 바랍니다.

 

▶Positive: 배터리 시장 성장

▶Negative: SK이노베이션과 2인자 싸움

 

탈화석연료 움직임과 더불어 앞으로도 배터리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입니다. 따라서 배터리 시장의 3강 중 하나인 삼성SDI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며, 이는 시장에서 주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 배터리 시장은 1위 LG화학이 있고, 그 뒤를 SK이노베이션과 삼성SDI가 추격하는 형태입니다. 최근 LG-SK 배터리 분쟁 여파로 삼성SDI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반사이익은 제한적일 것이고, 결국 누가 더 많은 설비투자로 더 빨리 양산체제를 갖추느냐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 SK가 공격적인 투자로 삼성SDI를 추격하고 있는 만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배당 정보

배당 성향

 

   

2019년

2018년

2017년

주당 현금배당금(원)

보통주

1,000

1,000

1,000

우선주

1,050

1,050

1,050

 

삼성SDI는 1년에 한 번 기말배당을 합니다. 시가배당률은 2019년에 보통주 0.44%, 우선주 1.17%였습니다.

 

배당 전망 요인

2020년 배당은 보통주 1000원, 우선주 1050원으로 전년과 동일하게 결정됐습니다. 다만 주가가 크게 상승하여 시가배당률은 떨어졌습니다.

 

이 글은 공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을 소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홈페이지, 사업보고서, 증권사 리포트, 네이버 증권 등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또한 이 글은 해당 기업에 투자할 것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