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방.석. 돈의 방향을 해석한다!

반응형

 

출처: 아시아나항공 홈페이지

1. 개요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와 함께 국내 FSC 항공회사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은 국내여객 11개 노선, 국제여객 74개 노선, 국제화물 28개 노선에 취항중이며, 세계 최대 항공사 동맹체인 'Star Alliance'를 통해 전세계 195개국 1,300여 개 공항을 연결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자료 출처: 아시아나항공 사업보고서, DART). 

 

지난 3년간 국내 항공 시장 점유율 (단위 : %) * 출처 : 한국공항공사

구분

기간

국내여객

국제여객

국제화물

아시아나

2019년

19.3

15.3

25.2

대한항공

2019년

22.9

22.2

41.8

기타 항공사

2019년

57.8

62.5

33.0

 

2. 사업 내용(자료 출처: 아시아나항공 사업보고서, DART)

아시아나항공주식회사(지배회사)는 항공운송사업을 주로 하며, 항공운수와 관련된 지상 하역, IT 시스템 구축 등을 하고, 레져 및 리조트 사업도 합니다. 주요종속회사는 에어부산㈜, 에어서울㈜, 아시아나IDT㈜, 아시아나에어포트㈜, 금호리조트㈜, Weihaipoint Hotel & Golf Resort Co., Ltd. 금호티앤아이(주) 등이 있습니다.

 

관계사 현황(2019년 말)

사업부문

지배 및 주요종속회사

사업내용

 항공운송 부문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여객 및 화물운송 등

 정보통신 부문

 아시아나IDT㈜

 IT서비스, 시스템구축 등

 항공운송지원서비스 부문

 아시아나에어포트㈜

 항공화물하역 등

 기타 부문

 금호리조트㈜, Weihaipoint Hotel & Golf Resort Co., Ltd., 금호티앤아이㈜

 휴양콘도 운영업, 기타금융업 등

매출현황을 보면 거의 대부분의 매출이 항공 운수 사업에서 나오고 있고, 2019년도 기준 영업이익 손실이 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괄호는 순손실)

사업부문

회사

매출액

영업이익

자산총액

항공운송부문

아시아나항공주식회사 외 2개사

6,791,192

(465,301)

13,369,850

정보통신부문

아시아나IDT(주) 외 1개사

275,961

20,260

285,674

항공운송지원

서비스부문

아시아나에어포트(주) 외 2개사

316,359

21,060

231,207

기타부문

금호리조트(주),

Weihaipoint Hotel & Golf Resort Co., Ltd.

외 14개사

201,550

51,861

1,720,715

단순합계

7,585,062

(372,120)

15,607,446

연결조정

(619,273)

(71,593)

(2,104,023)

합계

6,965,789

(443,713)

13,503,423

 

매출 비중을 보면 항공 운송 사업 중에서 국제 여객의 비중이 가장 크고, 그 다음에 화물, 국내 여객 순입니다. 대한항공과 마찬가지로 국제 여객 비중이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위: 억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 및 비중

항공운송

운송

노선사업

국내여객
국제여객
화    물

5,447(8.0%)
41,656(61.3%)
13,116(19.3%)

판매

노선
부대사업

기내면세품 판매
초과수하물 운송
기타 부대사업

1,079(1.6%)
438(0.6%)
6,175(9.1%)

소                    계

67,912(100%)

정보통신

사업

서비스

수입

운영 및 유지 보수수입

시스템종합관리 外

1,313(53.4%) 

SI수입

시스템통합구축 外

990(40.2%) 

시스템임대

수입 외

시스템임대 外

36(1.5%) 

상품

전산상품

전산상품 매출

122(4.9%) 

소                    계

2,461(100.0%) 

항공운송

지원서비스

항공조업

지상조업

1,524(51.6%) 

화물조업

496(16.8%) 

급유조업

330(11.2%) 

항공기 정비업

45(1.5%) 

인천급유시설운영업

358(12.1%) 

창고료

92(3.1%) 

부대사업

111(3.7%) 

소                    계

2,956(100.0%) 

기타

숙박업

휴양콘도미니엄

462(61.0%) 

스포츠 및 오락관련서비스업

골프장

231(30.5%) 

스포츠 및 오락관련서비스업

물놀이시설

64(8.4%) 

소                    계

757(100.0%) 

 

3. 재무 및 주식 정보

1) 재무 상태

출처: 네이버 금융

재무정보를 보면 최근 2년간 적자였고, 5분기 연속 적자입니다. 특히 작년에는 적자 폭이 더욱 커졌습니다. 부채 비율도 상당히 높습니다. 원래 항공운수업이 시설 비용 때문에 부채비율이 높다고는 하나 대한항공(약 800%), 제주에어(350%)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아시아나 내부의 회계가 부실하여 밝혀지지 않은 부채 등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참고 기사]정몽규 HDC 회장, 아시아나항공 대규모 적자에 "이걸 사야 하나" 고심... 산은·미래에셋과 갈등도 변수(조선비즈, 2020.02.27)

 

아시아나항공이 작년에 적자폭이 커진 이유로 대한항공에 비해 근거리 노선, 즉 중,일 노선이 많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중국과는 사드 문제로, 일본과는 불매운동 여파로 이용객이 줄면서 적자폭이 커졌다는 반응입니다. 또한 회계기준 변경으로 항공기 리스 관련 회계 처리가 부채로 산입되면서 부채 비율이 급격하게 났다고 봅니다. 국내 2위 항공사가 이렇게까지 재무구조가 위태로워도 되는가 싶을정도로 적자와 부채가 위험한 수준입니다. 이는 최근 HDC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 항공 인수를 망설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 주식 관련

출처: 네이버 금융

시총은 8,500억원 정도이고, 액면가는 5,000원입니다. 외국인이 12%정도 보유하고 있고, 현재는 금호그룹 관련사가 약 40%의 지분을 갖고 있습니다. 이 지분을 HDC현산이 인수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대규모 부실과 코로나 사태로 인한 업계 불황으로 인수 자체가 무산될 상황입니다.

 

4. 특이사항

아시아나항공은 항공, 고속버스(금호고속), 렌터카(금호렌터카) 등 국내 운송 산업에서 주축을 담당해 온 금호그룹의 대표적인 기업이었습니다. 최근 금호그룹 사정이 어려워져서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하기로 했고, 작년 11월 입찰이 진행되어 업계 2위를 노리는 제주항공과 모빌리티 산업 참여를 원하는 HDC현산이 경쟁한 끝에 HDC현산이 낙찰을 받았습니다. HDC현산은 금호그룹이 가진 아시아나항공의 지분을 3200억 정도에 사들이고, 추가로 유상증자를 통해 2조 정도를 투입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2019년 회계 기준을 바꿔서 적용해보니 대규모 부실이 드러났고, 코로나로 인해 업황이 나빠지면서 아시아나항공은 추가로 1조 8천억 정도가 필요한, 정말 숨이 넘어가기 직전인 기업이 되었습니다. 최근 진행한 회사채 100% 모집에 실패했고, 구조조정으로도 회생할 가능성이 적어지면서 인수 계약은 좌초될 위기에 놓여있습니다. 

 

[참고기사]HDC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항공 인수 원점 재점검 요구(조선비즈, 2020.06.09)

 

[참고기사][시그널] 딜 무산 전조?...HDC현산, 아시아나 인수용 회사채 대거 미달(서울경제, 2020.07.06)

 

5. 차트

아시아나항공(020560) 3년

현재 주가는 액면가 5,000원에 못미치는 4,000원 전후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의 주가는 항공사 매각 여부가 결정된 2019년 4월, 그리고 매각 주체가 선정된 2019년 11월 크게 올랐습니다. 매각과 관련된 뉴스가 나온 특정 시점에만 5천원을 넘어서 주가가 형성되었고, 그 이후로는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 이후로도 매각이 성사되면 주가 상승이 기대되나 매각이 무산된다면 더욱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6. 정리

-강점: FSC 항공사, 스타 얼라이언스 회원

-약점: 엄청난 부실규모

-기회: HDC현산이 인수한다면???

-위기: 매각 무산과 코로나 장기화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의 약점인 중단거리 노선을 보완하는 FSC항공사입니다. 회원 항공사 수가 많은 스타얼라이언스 소속 항공사인 것도 장점입니다. 최근에는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과 시너지 효과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만약 매각이 무산되고, 이미 지불한 인수 계약금 문제로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 운영과 이미지는 물론 기업의 존재 자체가 위협을 받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와 일본 불매 운동 장기화로 아시아나가 운항을 재개해도 한동안 수익구간으로 진입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상황은 더욱 암담합니다. 만약 아시아나가 여기에서 좌초된다면 FSC는 대한항공의 독점 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시장 경쟁을 고려할 때, 정부에서도 아시아나의 몰락을 방치하기는 어렵습니다. 갈수록 상황이 복잡해지는데, 혹시라도 현산이 인수를 결정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주가가 나아지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이 글은 사실만을 쓰려고 노력하며, 특정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시장 상황과 회계기준에 변동에 따라 변하는 부분도 있을 수 있으며, 2020년 7월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